미래에셋증권 ISA 만기해지 및 연금저축계좌 이전 방법
절세 계좌로 많이 활용하는 것이 ISA 계좌와 연금계좌입니다. ISA 계좌는 3년 이상 유지하면 만기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데요.
미래에셋증권 ISA 계좌를 만기 해지할 때, 단순히 현금화하기보다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면 추가적인 세액공제 혜택과 노후 자금 준비까지 한 번에 챙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래에셋증권 ISA 만기해지 절차부터 연금저축 계좌로 이전하는 과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핵심 내용 3줄 요약
- ISA 만기 시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해 세액공제까지 챙기기
- 미래에셋증권 ISA 계좌 해지는 전화로만 가능
- 미애에셋증권 ISA 계좌 해지 후 연금저축계좌 이전은 모바일 앱으로 가능
미래에셋증권 ISA 계좌 만기 해지 조건
- 3년 이상 유지해야 만기 해지 가능
- 비과세 한도(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 초과분은 9.9% 분리 과세
- 미래에셋증권 ISA 계좌 해지는 전화로만 가능
미래에셋증권 연금계좌 이전 조건
- 연금저축계좌 보유 필수 (연금계좌 없으면 미리 개설하기)
- 연간 1,8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 55세 이전 해지 시 세액공제 환수 + 과세 발생
- 세액공제받지 않았다면 55세 이전에도 원금 인출 가능함
✔ 미래에셋증권 ISA 만기 해지 방법 및 절차
미래에셋증권 ISA 계좌는 만기 이후 해지할 때 절차가 조금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참고 : ISA 계좌에 있는 주식은 해지 전에 미리 매도 처리해야 합니다.)
1. 고객센터 전화로만 가능
☎ 1588-6800 전화로만 해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전화를 걸어 해지 문의를 하면, 담당자가 처리해 주는데요. 중요한 것은 반드시 고객센터 상담을 통해 해지 신청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세금정산 안내
상담원이 해지 가능일, 세금 정산 등의 안내를 해주는데요. 본인 확인을 거쳐 최종 해지 처리를 진행하게 됩니다. 보통 ISA 계좌번호 확인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계좌번호를 미리 메모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3. 만기 해지 후 이체 진행
만기 해지 후 자동 출금되는 것이 아니라, ISA 계좌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만 추가 입금이나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해지 후 잔액을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되고, 전액 인출 후에는 ISA 계좌를 폐쇄하면 됩니다.
해지 시 유의사항
- 비과세 한도 (일반형 200만 원 / 서민형 400만 원)
- 비과세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적용
- 해지한 후 별도로 연금계좌에 직접 이전해야 합니다.
미래에셋증권 ISA 연금저축계좌 이전 방법 및 절차
ISA 계좌 만기해지를 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연금계좌 이전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 이전 신청
먼저 계좌이전 신청을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M-STOCK(미래에셋증권 앱) : 왼쪽하단 메뉴≡ > 연금 > 연금관리 > 연금입금관리 > ISA전환입금
- 화면 상단에 입금할 계좌번호 선택 후 신청
2. 전환 신청 후 입금진행
신청 후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청한 계좌로 직접 이체를 진행해야 합니다. 즉, ISA 계좌에서 연금계좌로 출금을 진행해야 하는데요. 다만 이체할 때 연금계좌번호를 그대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연금계좌번호 뒤에 22를 추가 입력) 후 이체를 진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연금계좌번호가 1234567이라면 1234567-22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 이체를 진행
- 금액은 원하는 금액을 이체하면 됩니다. 전액도 가능하고 일부만 이체해도 됩니다.
이체 경로
- 메뉴≡ : 자산뱅킹 > 뱅킹 > 이체/오픈뱅킹
- 상단의 ISA 계좌 선택 후 이체 진행
입금완료된 후 취소는 불가하고, 연금계좌로 입금된 뒤에 출금하게 되면 재입금이 불가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만기일부터 60일이 경과한 후 입금이 불가하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ISA 전환신청 후 반드시 60일 이내에 연금계좌번호 +22로 입금해야 합니다.
3. ISA 계좌 폐쇄하기
연금계좌로 이전 후에 해야 할 일이 한 가지 더 있는데요. 바로 ISA 계좌를 폐쇄해야 합니다. 계좌 해지한다고 계좌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폐쇄를 신청해야 합니다. 그래야 신규 ISA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 왼쪽하단 메뉴≡ > 서비스 > 계좌/ID관리 > 계좌관리 > 계좌폐쇄
연금 계좌 이체 및 납입
연금저축계좌는 연간 1,80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ISA 계좌에서 이전한 금액은 이 납입한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1,800만 원 한도 외에도 추가로 이체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 연간 1,800만 원 납입 가능 (ISA 이전금은 한도 제외)
- 연간 600만 원 세액공제 (IRP 추가 300만 원까지 가능)
-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 적용 (3.3~5.5%)
- 수익금을 55세 이전 인출 시 기타 소득세 16.5% 부과
연금저축계좌는 55세 이전 해지하면 세액공제받는 금액은 모두 환수되며, 운용수익 등에 대해서도 기타 소득세 16.5%가 부과됩니다.
세액공제받지 않은 원금은 55세 이전에도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지만, 그 수익금에는 기타 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연금계좌는 장기 운용을 전제로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A
Q. ISA 해지 후 바로 연금저축계좌로 옮길 수 있나요?
A. 네, 다만 ISA 해지 후 연금저축계좌로 입금하는 방식입니다.
Q. 연금저축계좌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A. 미래에셋증권 앱으로 비대면 신규 개설이 가능합니다.
Q. ISA 계좌가 다른 증권사에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A. ISA는 계좌 이전 제도를 통해 미래에셋증권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전 시에는 미래에셋증권사에서 이전 신청을 진행하면 증권사에서 알아서 처리해 줍니다.
ISA 계좌를 연금계좌로 이전하면 ①세액공제 ② 연금소득세 절감 ③ 노후 자산 운용의 3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이전 과정이 복잡하거나 헷갈리면 미래에셋증권 고객센터(1588-6800)에 문의해 보세요. 미래에셋증권 ISA 만기해지 후 연금저축계좌 이전 방법을 잘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과 절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 리스트
댓글